본문 바로가기
벌 궁리/투자분석

경기 사이클에 따른 섹터 별 성과 분석

by 궁리중 2024. 10. 27.
728x90

2024년 4분기. 확장이 장기화되는 글로벌 비즈니스 사이클(최종 업데이트 2024년 10월 27일)

주요 경제권은 일부 제조업이 약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선된 글로벌 금융 상황과 안정적인 고용 속에서 지속적인 확장세. 미국과 몇몇 대형 개발도상국(인도, 멕시코, 브라질)은 중간 주기 징후를 보였지만 미국은 여전히 ​​상당한 후반 주기 특성. 캐나다는 다른 선진 시장에 비해 경기 침체 위험 증가. 중국은 성장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계속 어려움 속에 대규모 부양책 발표.

https://institutional.fidelity.com/app/item/RD_13569_40890/business-cycle-update.html?pos=T


SPRD 에서 발표한 자료

경기 사이클 이해를 통한 효율적인 자산 배분 및 투자

  • Since economic cycles usually exhibit characteristics that impact sectors or industries differently, investors may identify sectors that are favored by the current economic phase.
    → 경기 사이클은 섹터나 산업에 다르게 영향을 주는 특성들을 보여주고 투자자는 경기 단계에 따라 선호(투자 대상)되는 섹터를 식별 가능케 함
  • Understanding cycle dependency on sectors is important to sector portfolio construction, particularly for a top-down approach. 
    → 섹터 별 사이클 의존성에 대한 이해는 포트폴리오 구성에 중요함
  • To make a quantitative and systematic assessment of how different sectors performed through various business cycles, we used the Conference Board Leading Economic Indicator Index (LEI) to segregate business cycles and evaluated sector performance over multiple business cycles between 1960 and 2018. 
    → 정량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Conference Board LEI(선행 경제 지표 지수)를 사용. 1960년에서 2018년 사이의 여러 비즈니스 주기에 걸쳐 분석/평가 진행

경기 사이클

  • Recession:  침체. LEI Index가 급속히 저점으로 하락
  • Recovery:  회복. LEI Index가 저점에서 반등했지만 여전히 장기 추세에는 이르지 못함
  • Expansion:  팽창. LEI Index가 플러스 성장이 장기 추세로 나타남
  • Slowdown:  둔화. LEI Index가 정점을 지나 완만해짐

1980년 이후 경기 사이클

  • Recession. 침체. 경기 침체 동안 경제 활동은 전반적으로 크게 하락 소비자와 기업 모두의 경제 생산량과 총 수요 감소. 실업률 증가, 낮은 소비자 신뢰 및 경기 위축이 특징. 통화정책은 총수요를 증가시키려는 시도로 금리 인하, 통화량 증가시킴
  • Recovery. 회복. 회복기에는 경제가 바닥에서 급격히 반등, GDP 성장과 총수요가 가속화. 경제 성장에 대해 소비자는 긍정적이 되고, 저금리를 이용하기 시작
  • Expansion. 확장. 경제 성장은 사이클 피크에 도달. 장밋빛 경제 전망과 기업 이익이 증가하면 기업은 사업 확장을 위해 자본을 할당하기 시작하고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성을 향상시킴. 금리는 상대적으로 상승하기 시작
  • Slowdown. 하강(둔화). 일반적으로 사이클 피크에 도달하고 산업생산이 증가하지 않음. 경제가 최대 용량을 초과하여 실행되고 있음을 의미. 통화 정책은 경제가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한을 시작

비즈니스 사이클에 대한 부문 성과 평가

섹터 성과 평가하기 위한 6가지 지표

  1. 평균 월 섹터 수익률(Average monthly sector return)
  2. 광범위한 시장에 대한 평균 월간 섹터 초과 수익률(Average monthly sector excess return over the broad market)
  3. 각 비즈니스 사이클 동안 해당 부문의 평균 수익률(Average return of the sector over each business cycle)
  4. 각 경기 주기 동안 해당 부문의 평균 초과 수익률(Average excess return of the sector over each business cycle)
  5. 해당 부문이 전체 시장을 능가하는 월의 백분율(Percentage of months when the sector outperformed the broader market)
  6. 해당 섹터가 전체 시장을 능가하는 사이클의 비율(Percentage of cycles when the sector outperformed the broader market)

경기 침체 시, 필수소비재/헬스케어/유틸리티는 outperform, 부동산/기술 섹터는 underperform
경기 회복 시, 내구재(경기민감)/원자재(소재)/부동산 outperform. 필수소비재/헬스케어/유틸리티 underperform
경기 팽창(활황) 시, 금융/부동산/기술 outperform, 필수소비재/헬스케어/유틸리티 underperform

 

경기 팽창 국면에서의 설비가동률 변화율. 팽창 구간(녹색 표시)에 설비가동률이 상승

 

경기 하락 국면에서 필수소비재/헬스케어/산업재 outperform, 경기민감(내구재)/원자재(소재)/부동산 underperform

 

경기 하락 시 민간 비주거 고정 투자 연단위 변화율. 경기 하락(핑크) 국면에서 고정투자도 감소

 


경기 사이클 별 섹터 로드맵

 

 

경기 국면 특징 비중 확대 섹터 비중 축소 섹터
Expansion. 팽창 성장 정점 도달
수요 증가 대응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설비투자 증가
금리 인상 시작
++ 금융, 기술
+ 통신서비스
- 필수소비재
-- 헬스케어, 유틸리티
Slowdown. 하강 설비가동률 정점
낙관적이지만 성장률 하락
제한적 금융 정책 시행
++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 산업재
- 원자재(소재)
-- 경기민감(내구재, 임의소비재), 부동산
Recession. 침체 생산 감소
모든 경제 주체 수요 감소
실업률 증가
소비 심리 위축
완화적 금융 정책
++ 필수소비재, 유틸리티
+ 헬스케어
- 통신서비스
-- 부동산, 기술
Recovery. 회복 저점에서 경기 반등
소비자 기대 개선(긍정적)
내구재 소비 증가
기업 활동 증가(투자, 생산 증가)
완화적 금융 정책 기조 지속
++ 경기민감(내구재, 임의소비재), 부동산
+ 원자재(소재)
- 헬스케어
-- 필수소비재

 

 


이 이론적인 모델은 Sam Stovall의 S&P's Guide to Sector Rotation을 기반으로 하며 경기 주기마다 더 강한 섹터가 있고, 그 와의 관계를 표시한 그래프

 


1950년 이후 S&P500 월평균 실적 1.5% 정도로 4월, 11월에 이어 높은 수치. 특히 12월은 75% 가 평균보다 높은 성적을 기록.

 

기간 별 월간 평균 실적


출처

https://www.ssga.com/library-content/products/fund-docs/etfs/us/insights-investment-ideas/sector-business-cycle-analysis.pdf

 

PerfCharts | Free Charts | StockCharts.com

PerfCharts allow you to dynamically compare the performance of up to ten different ticker symbols over a customizable period of time. Each line on a PerfChart shows the percent change for one securit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hart (its left edge). D

stockcharts.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