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 궁리/주식시황

[Y22.CW46] 가시권 악재는 없다

궁리중 2022. 11. 14. 01:15
728x90

이번 주 예상 시나리오와 매매 전략

  • 중국 화요일 경제 데이터. 현 방역책 영향으로 다소 부정적 결과 예상. 미국장에 커다란 영향 없을 것. 
  • 화요일 미국 PPI는 지난 6월 정점으로 하락세. 10월 역시 현 추세 지속 예상. 
  • 수요일 미국 10월 소매판매 예상치 상회 시 연준 현 긴축 기조 강화 신호로 약간의 악재로 작용 가능. 
  • 목, 금요일은 산업 생산, 주택 착공 및 기존 주택 판매 발표. 급격한 금리 인상 영향 반영하여 하락 예상. 
  • 지난주 미국 CPI 하락으로 연준의 12월부터 공격적 금리 인상 기조가 약화될 것으로 시장은 기대하여, 금주 발표 데이터에 대해 둔감하게 반응할 여지 있음.
[이번 주 예상] 시장 충격 중요 이벤트 없음. 투자자 심리적 갈등 구간(FOMO, Sell The Rip) 진입
- (월) 수익 실현 매도 가능성.
- (화) PPI 하락 시, 물가 하락 기대 상승(주가 상승 견인) 
[전략] (월) 하락 시 또는 (화) PPI 발표 전 진입. ① 경우, 추매
- VX 숏. USTECH/US500 롱. 구리 관찰(숏). 코스피 관찰(숏)
[리스크] ② 중국 방역 추가 완화 ▷ 원자재 상승
종목 예상 시나리오
10년물 금리(US10YT) 약보합(하락) 12월 FOMC 50bp 선반영. 침체 우려(장단기역전 심화) 국채 수요 증가
달러(DX) 하락(약보합) 시중 금리 하락. 유동성 증가. 금융/환 시장 안정세
변동성(VX) 하락(약보합) 대세 하락세. 기술 지표 과매도 구간 진입 && 다이버전스
나스닥100(USTECH) 상승 시장 유동성 완화. 4분기 실적 상승. 기술 지표 상승 여력
S&P500(US500) 상승 시장 유동성 완화. 4분기 실적 상승. 기술 지표 상승 여력
코스피200(KSU7) 상승 진입 조건. 달러 보합(상승) && 지수 330 이상 && 백워데이션
금(GC) 상승 달러 약세. 침체 우려 안전 자산 선호 
구리 상승 진입 조건. 달러 상승 && !② 

주식 시장 심리 및 평가: Bullish

  • 11/02 ~ 11/09. 주식 펀드, 채권 펀드 자금 유출. 9일 이후 자금 유입될 것으로 예상
  • 11월 말 만기 S&P500 지난 주 대비 풋옵션 OI 매도세, 콜옵션 매수세
  • 11/09. 투자자 설문조사에서 약세장 심리 강화. 11/09 이후 강세장 심리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
  • S&P500 회사 내부자 매수세가 둔화. 현재 상승 랠리가 장기 지속하지 않을 것. 
  • 금융 시장 유동성 지속 10월 말부터 완화 추세
Weekly 11/09/2022 주식 펀드 유출 -$85억; 채권 펀드 유출 - $838 백만

 

11/30 만기 E-mini S&P 500 옵션 OI(미결제약정) 현황. 1주일 전과 비교하여 풋옵션 매도 증가, 콜옵션 매수 증가. (출처. cmegroup.com)

 

투자자 심리 설문. 지난 주 수요일 집계에서 중간 선거 결과 실망(?)으로 약세장 심리 강화. 목요일 CPI 하락으로 강세장 심리 재점화 되었을 것으로 예상. 
AAII(11/09). 중간 선거 결과로 약세장 심리 강화
(출처. aaii.com)
NAAIM(11/09). 중간 선거 결과로 약세장 심리 강화. 
(출처. naaim.org)

 

S&P 500 기업 회사 내부자 자사주 매수 둔화. 현재 상승 랠리가 장기 지속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 (출처. fintel.io)

 

미국 금융 컨디션(=유동성, 갈색) 이 점차 하락 추세이며 금융 시장 유동성이 개선되고 있는 양상. (출처. 세인트루이스 Fed)

 

IPO는 지속 감소. (출처. stockanalysis.com)


지난 주 결과

  • ① 미국 중간 선거. 설문조사에 따르면 공화당이 우세로 결과도 동일하다면 호재. 
    ▶ 결과) 하원은 공화당. 의회 양분. 선거 당일/익일 결과 집계에서 GOP 다수 의석 확보 예상과 달리 접전으로 실망적인 결과에 주가 하락
  • ② CPI는 연준의 통화정책 목표로서 그 추세가 정점을 지나 완연한 하락세로 진입했는지가 관건
    ▶ 결과) 예상치에 비해 하락. 세부 내용도 물가가 정점을 지나 하락세 신호들이 증가. 연준 고강도 긴축 기조 변화 기대 상승. 시중금리/달라 하락, 주가 상승 견인
  • 중국 수출입, CPI 데이터는 Zero-Covid  규제 정책이 완화되지 않는 이상 호전되기 어려움 
    ▶ 결과) 당국의 방역책 완화 발표로 중국/홍콩 지수 상승
[예상] ①, ② 가 시장 주도 이벤트. 공화당 승리와 CPI 정점을 확실히 지나 하락세 진입 시그널이면 상승. 
     ▶ 결과) 적중. 
[전략] VX 숏, USTECH 롱, US500 롱.
     ▶ 결과) 금요일. 보유 종목 모두 익절. 
종목 예상 시나리오
10년물 금리(US10YT) 약보합 ▷ 하락 보합에서 ② 경우 약보합(하락)
결과) -8.45%. 
달러(DX) 보합(약보합) 보합에서 ② 약보합(하락)
결과) -4.08%
변동성(VX) 하락 대체적으로 하락세
결과) -5.79%
나스닥100(USTECH) 상승 상승에서 !② 경우 하락 반전
결과) 9.68%
S&P500(US500) 상승 상승에서 !② 경우 하락 반전
결과) 6.62%
코스피200(KSU7) 상승 상승에서 !② 경우 하락 반전
결과) 6.24%.
금(GC) 상승 상승에서 !② 경우 하락 반전
결과) 5.82%%

주식 시장 심리 및 평가 지표

[주요 이슈]
- FOMC. 11/1~2 (Tuesday-Wednesday)
- FOMC. 12/13~14 (Tuesday-Wednesday)
- 선물옵션 동시 만기: 12/16
COT(S&P500) Weekly  
Fear&Greed Daily  
NAAIM Weekly  
AAII Weekly  
Shiller-PE Weekly  
Margin Debt Monthly  
Insider Trading Weekly  
Buffet Indicator Weekly  
IPO Monthly  
Fund Flow
Weeky ETF fund flow, R
Weekly  

중장기 투자 전략(향후 1분기 이상)

경기 사이클 : 회복 ▶ 확장 ▶ 둔화(중후기), 수축 ▶ 침체
경제 상황(스테그플레이션) : ① 성장(↑)물가(↑) ② 성장(↑)물가(↓) ③ 성장(↓)물가(↑) ④ 성장(↓)물가(↓)
주요  이슈: 긴축 통화정책, 고물가 지속, 경기 침체 우려, 지정학적 긴장(중국 대만 침공, 미+유럽 vs 사우디+러시아)


유리한 자산: 현금(달러)
불리한 자산: 원자재, 주식, 채권, 부동산
통화 정책   긴축 국면
10년물국채금리(US10YT) 약보합(하락) 긴축 기조 완화, 고용 둔화, 물가 완화, 침체 우려로 안전 자산(국채) 선호
달러(DX) 약보합(↔ 강보합) 긴축 기조 완화, 고용 둔화, 물가 완화 ↔ 침체 우려로 안전 자산 선호
오일(CL) 하락(약보합) 경기 둔화. 달러 강세 ↔ 산유국 생산 감축
S&P500(US500) 하락 경기 둔화. 금리 상승
코스피200(KSU7) 하락 대내외 여건(원자재, 환율 등) 불리. 세계 경제 둔화
금(GC) 강보합(상승) 달러 약세. 침체 우려 안전 자산 선호 
원자재 하락 경기 수축(건설 및 내구재 소비 감소)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최종 업데이트.11/01 3개월 6개월 12개월 비고
경기 사이클 수축 수축(침체) 침체  
리스크 긴축 강도
고물가 지속
통화정책 실수
고물가 지속
중국 대만 침공  
Equities ■□□□□ ■□□□□ □■□□□  
Credit □□□□ ■□□□□ □■□□□  
Fixed Income □□□■□ □□□■□ □□■□□  
Commodities □■□□□ ■□□□□ ■□□□  
Gold □□■□□ □□□■□ □□□□■  
Cash(Dollar) □□□ □□□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