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경제동향] Y23.CW48.미리 보기
[미국] 주요 경제 지표. 3분기 GDP 성장률 2차 개정 및 베이지북(수), 10월 개인 소득 및 지출(PCE)(목), ISM 제조업 PMI(금). 전월 PCE 3.1%로 둔화되어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 기록, 근원 수치는 2년여 만에
afakelife.tistory.com
[이번 주 시황 예상] (월),(화)는 2,5,7년물 국채 경매로 해당 수익률이 높게 형성된 후 PCE 수치가 지속 하락을 확인해주면 약세로 전환 할 것. (목) 10월 개인 소득 및 지출(PCE) 수치는 상승 추세가 지속과 반전의 계기가 될 것이며, 시장 예상은 전월대비 완화될 것. (금) 제조업 ISM 은 지속적인 위축 예상. 미연준 파월 의장 발언으로 정책 방향 힌트. [+] 시장 심리를 급격히 냉각시키거나 하향 변곡 조성 이벤트와 리스크 없음. [+] PCE 지속 완화. [+] ISM 제조업 PMI 는 전월 대비 하락 예상. [- ] 주식 펀드 자금 유입액이 2주전에 비해 다소 감소. (여전히 플러스 유입) [- ] 금융 조건 위축으로 전환(그림2)으로 투자 심리 약화와 추세 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태. [- ] 30일(목) OPEC+ 회원국 감산 협의 난항으로 유가 변동성 예상. [- ] 주가의 기술지표들은 과매도 상태. 과매도 구간에 진입하고 주식 펀드 유입이 줄고 있으며 금융 여건 또한 위축되고 있으나, 가시적 리스크는 없고 금주 주요 경제 지표가 시장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 S&P500 기준, 하락 시 4530~4490, 상승 시 4650 예상(그림 5). |
[지난 주 시황 예상] 추수감사절 휴가 시즌으로 조용한 한주로 마감. 달러 약세에 흐름과 달리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예상대로 4.37% 를 터치 후 소폭 상승하여 저점을 확인. 특히 금이 지속 강세를 보이는데 이유가 분명치 않음. 달러 약세, 전쟁으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와 경기 침체 우려로 해석될 수 있겠지만 인플레이션 하락은 금값 하락의 요인임에 크게 작용하지 않는 상태임. -------------------------------------------------------------------------------------------------- 지난 주 CPI 예상치 하회와 더불어 유가 하락까지 더해 12월 13일 Fed Watch 에서의 금리 예상 '동결 100% 확률'(1개월 전 70%). 이번 주는 추수감사절 휴가와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경제 지표 발표가 없기 때문에 변동성은 낮고 횡보 구간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있음. 화요일 11월 FOMC 회의록에서 과잉 긴축에 대한 우려 또는 현 긴축 사이클이 막바지에 이르렀음을 나타내는 논의가 있다면 호재로서 현 추세를 연장하는 호재로 작용할 것. [상방] 시장 심리를 급격히 냉각시키거나 하향 변곡 조성 이벤트와 리스크 없음. [상방] 기대 인플레이션(그림2) 하락과 시중금리 하락세(그림4, 4.37%까지 예상) S&P500 지수 기준 저항선(4530)가 중요 분기점으로 판단되며 돌파 시 4565~4570 예상. |
728x90
'벌 궁리 > 주식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황분석] Y24.CW01.새로운 국면 (1) | 2024.01.01 |
---|---|
[시황분석] Y23.CW50.산타를 부르는 FOMC (3) | 2023.12.10 |
[시황분석] Y23.CW47.횡보? 추세 전환? (1) | 2023.11.20 |
[시황분석] Y23.CW34.완전한 추세 전환인가 (0) | 2023.08.20 |
[시황분석] Y23.CW32.주춤하는 장 (0) | 2023.08.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