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 궁리/주간경제지표

2022년 40주차 주요 경제 이벤트

궁리중 2022. 10. 3. 21:29
728x90

이번 주(40) 주요 경제 이벤트 및 주식시장 전망

[개인 의견] 고용과 실업률 데이터, 경기선행지표인 PMI 등이 이번 주 주요 경제지표. 이미 실업률은 연준 목표 달성, 노동시장이 진정되어 물가 압력이 완화되길 원함. 고용과 실업률 기대치 상회 시 11월 금리인상 폭이 75bp 가 확실시로 시장에 선반영 되어 있고 충격이 다소 약할 것. PMI가 하락하여 경기 둔화(또는 침체) 우려가 커져도 연준 긴축정책에 의한 수요 감소로 나타난 결과이며 인플레이션 억제가 제일의 목표로서 오히려 연준이 반길만한 소식. 

[10/03(월)] 일본 M&S-PMI. 독일 M-PMI. 유럽 M-PMI. 미국 ISM M-PMI
[10/04(화)] 미국 공장 주문, JOLTs Job openings. 유럽 ECB 종채 Lagarde 연설
[10/05(수)] 한국 CPI. 독일 수출입, S-PMI. 유럽 S&P합성 PMI. 영국 합성 PMI. OPEC+ meeting. 미국 ADP Payroll, 수출입, S&P 합성 PMI, ISM S-PMI
[10/06(목)] 독일 공장주문. ECB 통화정책결산발표. 미국 실업수당청구건수
[10/06(금)] 중국 Caixin M-PMI, S-PMI. 독일 산업생산, 소매판매. EU 정상회담. 미국 시간당평균임금, 실업률. Nonfarm Payroll


지역 Fed 총재 연설 일정
3분기 EPS(Bottom-up) 추정치(지수 내 모든 기업의 3분기 EPS 추정치 중간값 집계)는 6월 30일부터 9월 29일까지 6.6%($59.44에서 $55.51로) 감소. 전분기에 비해서 실적 악화를 예상하는 기업 증가


지난 주(39) 종합

  • OECD 9월 발표.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2.2%로 기존 전망치(6월) 2.8%에서 하락.
  • 영국 새 내각의 세금 감면 정책 발표로 금융 시장 불안정. BOE의 무제한 채권 매입(양적완화) 10/14까지 실행 발표 후 국채 시장 다소 안정화(시중금리 하락)
  • 미국 주택시장 둔화 본격화. 모기지 금리 급등세
  • 한국 제조업 업황 BSI 지속 하락세(10월도 하락 전망. 경기 둔화 지속)
  • 독일을 비롯한 유럽 물가지수 10% 상회
  • 미 연준 지역총재들 연설. 다음 주 까지 계속. 매파적 기조 유지. "미국이 경기 침체에 빠지더라도 연준 금리 인상 지속할 것"
  • 미국 PCE. 전년 동기 대비는 하락. 근원(음식과 에너지 제외), 서비스 부문 상승. PCE 기대치 상회로 금리 인상 폭도 커질 것이라는 시장 심리 반영으로 주가 하락
  • 최근 미국의 지표는 경기 반등, 고용 견고. PCE 도 기대 이상으로 연준의 정책 변화(완화적으로) 기대 심리 약화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 합병 선언

3분기 어닝 시즌 시작. 6월부터 S&P500 EPS 전망치 지속 하락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