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 궁리/주간경제지표

[경제동향] Y23.CW50.미리 보기

by 궁리중 2023. 12. 10.
728x90

[50주차 요약]

미국 연준의 금리 결정(13일), 인플레이션 데이터(12일) 및 소매 판매(14일) 등 주요 경제 지표 발표. 국제적으로 시장은 유럽중앙은행 금리 결정(14일)에 주목할 것.

  • 미 연준은 금리를 2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유지(동결)할 것으로 예상. 미국은 또한 소비자, 생산자, 수입 물가를 포함한 주요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공개. CPI는 YoY 전월 대비 11월에는 0.1% 상승, 근원물가는 전월과 같은 수준으로 0.2% 상승 예상. 소매판매는 2개월 연속 0.1% 감소할 것으로 예상, 산업활동은 10월 0.6% 위축에 이어 0.3% 반등할 것으로 예상. 
  • 유럽에서는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을 고려하여 ECB와 BoE가 현 금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 예의주시. 유로 지역, 독일, 프랑스에서 S&P PMI 수치가 급등할 것으로 예상. 유로존의 민간 부문 활동은 12월에도 계속 위축될 것으로 예상. 독일에서는 ZEW 경제심리지수가 8개월래 최고치에서 하락할 것으로 전망. 
  • 중국 경제 캘린더에서는 11월 신규 위안화 대출, 소매 판매, 산업 생산, 주택 가격 지수, 실업률이 중점적으로 발표.

(출처. https://www.youtube.com/@hkglobalmarket/community)


11월 근원물가는 MoM은 10월의 0.2% 상승에 비해 0.3% 상승할 것으로 예상. 헤드라인 CPI(YoY) 10월 3.2%에서 3.1% 소폭 하락, 근원물가(YoY)는 4.0%로 동일한 수준의 4.0%로 예상. 결론적으로 근원물가 하락 속도가 둔화. 

출처. investing.com
출처. fidelity.com

 

가격탄력성이 높은 물가(갈색)는 예전 수준까지 하락하여 더 이상의 하락을 기대하기 어렵고, 비탄력적(집세 등, 연두) 물가는 하락 중이나 경기의 완만한 둔화와 연착륙 가능성 증가로 근원물가의 상당한 하락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

 

지난 9월 FOMC 프로젝션. 2024년 전망에서 점도표에 반영될 PCE와 실업률 변화를 면밀히 살펴야함. 9월에 비해 PCE 수치가 증가하고 실업률은 감소한다면 높은 금리를 오래 유지할 가능성(긴축 사이클 연장)이 커지면서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증가. (출처. federalreserve.gov)

 

13일 FOMC의 금리 결정은 97.1% 확률로 시장은 동결을 예상함. (출처. cmegroup.com)

 

설비가동률(파랑)과 산업생산(갈색)은 미 경기가 고점에서 서서히 하강으로 접어들었음을 나타냄.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