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 동향
[주요 이슈] ①Fed 금리인상/긴축 ②Recession(or Stagflation) 우려 ③러-우 전쟁(에너지 곡물 가격 불안정) ④중국 경제 침체 - 러시아 종전? 제재는 지속 ▷ 재건에 시간 소요 ▷ 에너지 및 곡물 가격 상승 압력 지속 ▷ 가시권 영향 미비 - 자연적 수요 감소? 고물가로 소비 심리 위축 ▷ 소비/투자 감소 ▷ 현재 미국 외 세계 성장 동력 저하 ▷ 글로벌 경기 침체, 자산 가치 하락 조정 ▷ 물가, 시중 금리 하락 후 ▷ 반등 ▷ 현재 흐름 ---------------------------------------------------------------------------- [세계 경제 체제] ① 성장(↑)물가(↑) ② 성장(↑)물가(↓) ③ 성장(↓)물가(↑) ④ 성장(↓)물가(↓) [세계 경제] 높은 인플레이션과 통화긴축 강화, 중국의 봉쇄조치 등에 따라 세계경제에 대한 부정적 전망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 [미국]. 내수가 여전히 양호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나, 높은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며 기준금리 인상이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확대된 가운데 경제성장률도 하락 [한국].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으나, 대외 여건이 악화되면서 투자와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는 등 경기 하방위험이 더욱 확대 [유럽]. 미약한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3월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와 고물가가 지속되어 심리지표도 악화됨 [중국]. 강도 높은 봉쇄조치가 시행되고 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 등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되면서 성장세 둔화 우려가 지속 [일본]. 원자재가격 급등과 공급망 제약이 지속되고 소비심리가 기준을 하회하고 있어 향후에도 경기 개선 흐름은 더딜 것으로 판단 |
[경제 캘린더] [월] 독일 CPI 기대치 상회(지속 상승) [화] 한국 산업생산 하락. 중국 PMI 소폭 상승(50미만). 유럽 CPI 상승. 미국 HPI 상승, CB Consumer Confidence [수] 한국 수출입 증가. 중국 Caixin M-PMI 소폭 상승. 독일 소매판매 대폭 하락, ISM M-PMI 소폭 증가, JOLTs Job Openings 감소(여전히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 [목] 미국 Nonfarm Productivity 하락, Unit Labor Costs 상승, Factory Orders 소폭 증가 [금] 한국 CPI 상승. 미국 Average Hourly Earnings, Nonfarm Payrolls, Participation Rate, Unemployment Rate, Services PMI, ISM S-PMI |
투자 일지
[05-29] 지난 주 주식 시장 반등. 4월 물가 정점설이 힘을 얻고 고물가에도 미국의 소비는 견고함을 유지(. 많은 지표에서 물가 압력 요인들이 점차 완화되고 소비 패턴이 물품에서 서비스 부문으로 전이되고 있음. 그러나 저축률 감소, 주택구매 감소, 소비심리지수 악화, 선행 지수 하향세 등 경기 둔화 신호가 뚜렷해짐. 물가 하락이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춰도 자산 가치 상승이 전에 비해 어려운 상황.
[05-30] 미국 메모리얼데이로 딱히 주목할만한 뉴스는 없음. ECB의 긴축 계획이 가시화 됨에 따라 유로화 강세. 중국 코로나 방역 완화로 유가 강세. 올해들어 재무상태(현금흐름)가 양호한 기업으로 투자자금 이동(하기 그림)이 뚜렷함.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06-01] 상승 모멘텀이 약해짐.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와 은행가 및 경제 전문가의 경고, 그로인한 더 낮은 바닥설이 꾸준히 제기. 그럼에도 양호한 경제 지표와 물가가 정점으로부터 하락 신호. 9월 금리인상 폭이 벌써부터 화두. 아직까지는 상승 심리가 강해지고는 있으나...
[06-03] 소강 상태. 성장 속도 둔화가 침체가 목전이다라는 뜻은 아님. 그렇다고 주식 시장이 다시 뜨겁게 달아 오를 것 같지도 않음. 제조업 신규 주문 4월 급감이 침체 신호로 받아들이기에는 지난 해 4월이 더 저조함. 계절적인 요인인지는 모르겠음. 임금이 지속 상승(속도 둔화)하여 노동생산성이 하락. 향후 하락 반전 시 해석은 경기 둔화.
주식 시장 심리 및 평가 지표
빈도 | 비고 | |
SKEWS | Daily | 기술적 하방 지지선 터치 |
COT(S&P500) | Weekly | 숏 포지션 급증![]() |
Volatility | Daily | Risk Reversal 이 하락 반전![]() |
Fear&Greed | Daily | ![]() |
NAAIM | Weekly | ![]() |
AAII | Weekly | ![]() |
Shiller-PE | Weekly | 과대평가 |
Margin Debt | Monthly | 지속 하락 |
Insider Trading | Weekly | 지속 하락 |
Buffet Indicator | Weekly | 과대평가 |
IPO | Monthly | 지속 하락 |
상승 모멘텀은 당분간 지속(~6월 FOMC)? 인플레이션 정점 도달 후 완화 조짐. 악조건에도 경기 호조 | ||
US10YT | Long | 하방 지지선 견고, 기술적 반등. 고용 및 경기 호조 |
Dollar | Neutral(Short) | 유럽 긴축 가시화 |
Oil | Short | 기술적 하락(+2σ) |
USTECH | Long | Skew, 20 / 50 MA, 시장 금리 하락, 경기 선방 |
US500 | Long | Skew, 20 / 50 MA, 시장 금리 하락, 경기 선방 |
VIX | Short | |
KSU7(KOSPI200) | Long | |
GOLD | Long | 20MA, 1890(+2σ) |
중장기 투자 전략(06/01)
향후 전망 | 3개월 후 | 6개월 후 | 12개월 후 | 비고 |
경기 사이클 | 고점 | 하강 | 하강 | 자산 버블 최고점 |
리스크 | 금리 인상 고물가 지속 성장 둔화 |
금리 인상 연준자산 축소 경기 수축 |
Recession | |
Equities | □□■□□ | □■□□□ | □■□□□ | |
Credit | □■□□□ | □■□□□ | ■□□□□ | |
Fixed Income | □□□■□ | □□■□□ | □■□□□ | |
Commodities | □□■□□ | □□■□□ | □■□□□ | |
Gold | □□□■□ | □□■□□ | □■□□□ | |
Cash(Dollar) | □□■□□ | □□□■□ | □□□■□ |
'벌 궁리 > 주간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24주차 투자일지 (0) | 2022.06.14 |
---|---|
2022년 23주차 투자일지 (0) | 2022.06.09 |
2022년 21주차 투자 일지 (0) | 2022.05.28 |
2022년 20주차 투자 일지 (0) | 2022.05.21 |
2022년 19주차 투자 일지 (0) | 2022.05.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