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 궁리/주간경제지표

2022년 20주차 투자 일지

by 궁리중 2022. 5. 21.
728x90

글로벌 경제 동향

Fed 금리인상/긴축. Recession. Stagflation. 전쟁
----------------------------------------------------------------------------
① 성장(↑)물가(↑) ② 성장(↑)물가(↓) ③ 성장(↓)물가(↑) ④ 성장(↓)물가(↓)

[세계 경제]
. 성장 둔화. 고물가 지속. 각국 정부 금리 인상,유동성 회수. 
[미국] 주요 실물지표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인플레이션 압력도 확대되는 등 경기 불확실성 증가. 고용시장이 양호한 회복 흐름을 유지하고 소비자물가의 급등세도 지속됨에 따라 금리인상 등의 통화긴축은 가속화될 전망
[한국]. 코로나19 확산에도 완만한 경기 회복세 유지. 대외 여건 학화로 경기 불확실성 대폭 증가
[유럽]. 소비와 수출 등이 회복세를 보였으나, 우크라이나 사태의 악화로 물가 불안은 지속되고 성장세도 점차 둔화될 전망
[중국]. 방역조치 강화로 소비와 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심리 지표가 부진한 흐름. 중국정부는 완화적 통화정책을 지속, 세금 감면 등 내수 확대를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 
[일본]. 생산과 소비 관련 지표가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상대적으로 더딘 경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양적완화의 지속으로 엔화 절하

투자 일지

[05-16] 중국 경제 지표 기대치 하회, 유럽 경제 비관적 전망이 전체 주식 시장 약세를 이끔. 코로나 봉쇄가 6월에 완화되어도 중국의 2분기 GDP는 크게 하락할 것이고, 반등 모멘텀을 되찾기 어려워 보임. 최근 유럽연합은 러-우 전쟁으로 유발된 에너지 및 곡물가격 상승으로 경제 성장률은 하락, 인플레이션은 지속 상승하여 매우 비관적인 전망 발표함. 

중국 4월 산업생산(-2.9%)과 소매매출(-11.1%)
중국 기록적인 높은 청년 실업률
러-우 전쟁으로 에너지 혼란을 유발, 유럽 경제 전망 2023년에 부정적이며 2022년도 지속 하락 전망(자료출처.블룸버그)
유럽연합(EU) 전망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가스 수입이 대규모 차질을 빚을 경우 유로 지역 인플레이션이 올해 9%를 넘어 치솟을 것(자료출처.블룸버그)

[05-17] 중국 코로나 락다운 완화 소식, 여러 우려에도 준수한 미국 경제 지표(소매매출, 산업생산 등)와 과매도로 인한 강한 반등 랠리 모멘텀 등이 파월의 강경 매파적 발언을 모두 잠재웠다. 파월은 "인플레이션 하락이 분명해질 때까지 밀어불일 것이며, 필요하다면 중립금리 이상으로 인상하는데 주저하지 않고, 수단과 의지를 갖추고 있으며 총력을 다하겠다. 실업률이 올라가고, 성장률이 하락할 수 밖에 없다"라 말했다. 이미 월초에 향후 금리인상, 긴축 계획 발표로 정책 불확실성이 해소된 상태이고, 강력한 의지는 밝혔으나 새롭거나 추가된 수단이 보이지 않았다. 

[05-18] 경기가 거의 정점 이른 것 같다. 고물가, 금리 인상과 긴축, 소비 위축, 투자 감소 등 이젠 경기 하강의 징후가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함. 잠시 약한 반등이 있더라도 장기적으로 하락 추세. 

산업생산, 설비가동률이 전 고점에 도달
신규실업청구수당 신청 건수 증가세
4월 고용 시장 악화

[05-19] 기업 이익 정점. 향후 금융 환경을 감안할 때 하락 또는 연착륙한다면 소폭 하락 후 정체될 것으로 예상. 여러 조건을 봤을 때 하락할 가능성이 훨씬 높음.

기업 총이익(세전)과 전체 주식시장과의 관계. 이익이 감소하면서 수개월 내에 주식시장에 영향
한국 기업의 매출실적도 지난 해 2분기부터 악화된 후 지속 하향세. 비슷한 시점부터 코스피도 후행. 국제적 환경(환율, 원자재가격)이 우호적이지 않아 더욱 상황은 악화될 것으로 예상.

[05-20] 


중국 락다운 종료? 공급망 정상화 ▷ 오일 및 원자재 소비 증가로 가격 상승 ▷ 고물가 압력 증가 ▷ 나쁨
러시아 종전? 제재는 지속 ▷ 재건에 시간 소요 ▷ 에너지 및 곡물 가격 상승 압력 지속 ▷ 영향 없음
- 연준 완화적 기조 전환? 가솔린 소비 증가 시즌, 임금/주거비용 상승 고착화 단계 ▷ 물가 상승 압력 지속 ▷ 불가능
- 자연적 수요 감소? 고물가로 소비 심리 위축 ▷ 소비/투자 감소 ▷ 현재 미국 외 세계 성장 동력 저하 ▷ 글로벌 경기 침체, 자산 가치 하락 조정 ▷ 물가, 시중 금리 하락 후 ▷ 반등 ▷ 현재 흐름

---------------------------------------------------------------------
[경제 캘린더]
[월] 중국 산업생산/소매판매 기대치 상회, 실업률 증가. EU 경제전망 비관적. 미국 NY PMI 큰폭 하락
[화] EU 1분기 GDP 기대치 상회. 미국 소매매출 증가, 산업생산 증가, 재고 증가
[수] 일본 1분기 GDP  마이너스 성장. 영국 CPI 상승. EU CPI 소폭 하락. 미국 건축허가 증가, 주택시공 감소
[목] 미국 필라델피아 PMI, 기존주택매매
[금] 중국 금리
----------------------------------------------------------------------
[상승 요인]
① 
② 
③ 
④ 
[하락 요인]
⑤ 
----------------------------------------------------------------------
[결과] 
USTECH    
US500    
GOLD    
TLT    
VIX    
KSU7(KOSPI200)    
Dollar    
Oil    
Volatility Skew, Implied Volatility, Volume & Open Interest
※ 특이 사항
05/20 하락 이벤트 있음. 구체적인 정보는 없음

 


중장기 투자 전략

향후 전망 3개월 후 6개월 후 12개월 후 비고
경기 사이클 고점 하강 하강 자산 버블 최고점
리스크 금리 인상
고물가 지속
성장 둔화
금리 인상
연준자산 축소
고물가 지속
성장 둔화
성장 둔화 스테그플레이션 우려
Equities □□■□□ □■□□□ □■□□□  
Credit □■□□□ □■□□□ ■□□□□  
Fixed Income □□□■□ □□■□□ □■□□□  
Commodities □□■□□ □□■□□ □■□□□  
Gold □□□■□ □□■□□ □■□□□  
Cash(Dollar) □□■□□ □□□■□ □□□■□  

주식 시장 심리 및 평가 지표

사진 출처.https://www.kiplinger.com/investing/600951/understand-the-major-indexes

 
728x90

'벌 궁리 > 주간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22주차 투자일지  (0) 2022.06.06
2022년 21주차 투자 일지  (0) 2022.05.28
2022년 19주차 투자 일지  (0) 2022.05.15
2022년 13주차 투자 일지  (0) 2022.04.01
2022년 12주차 투자 일지  (0) 2022.03.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