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 궁리/주간경제지표

2021년 41주차 주간 종합

by 궁리중 2021. 10. 15.
728x90

주목해야 할 이슈

  • 미국. 임시 예산 통과로 향후 2개월 간 가시적 리스크 완화
    -> 공화당 12월 3일까지 연장 합의(10/06)
  • 글로벌. 블랙프라이데이(11/26) 까지 물류, 운송 등의 차질 BDI 연일 상승.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
  • 중국. 에버그랑데 외 부동산 개발 업체들 채무 상환 연장 신청. 신용 등급 강등. 정크본드 수익률 급등
  • 정크 회사채 금리 상승 속도 가파름

FOMC 회의록 공개

  • Regarding the outlook for monetary policy, market participants noted policymaker communications suggesting that tapering of asset purchases could begin this year and end by mid-2022. Around half of respondents to the Desk’s surveys of primary dealers and market participants viewed December as the most likely timing of the first reduction in the net pace of purchases, although respondents also attached significant probability to the first reduction coming in November. Median expectations for the pace of net purchases were consistent with a gradual tapering of net purchases being completed in July of next year,......
    -> 올해 시작해서 2022년 중간에 종료. 첫 자산매입 축소는 11월부터 시작할 가능성
  • if begun later this year, would lead the Federal Reserve to end purchases around the middle of next year. The path featured monthly reductions in the pace of asset purchases, by $10 billion in the case of Treasury securities and $5 billion in the case of agency mortgage-backed securities (MBS).......
    -> 만약 올해 말부터 시작한다면, 내년에 중순에 종료할 것이고, 매월 채권 $10 billion, MBS $5 billion 씩 매입 축소

41주차 주요 이벤트(이번 주)

Monday, Oct. 1

Steady. Oil surged

Tuesday, Oct. 12

  • IMF releases World Economic Outlook and 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
  • Atlanta Fed President Bostic speaks on inflation

Economic Data/Events

  • Korea Interest Rate Decision (Oct)
  • Germany ZEW survey expectations
  • US NFIB Small Business Optimism (Sep)
  • JOLTs Job Openings (Aug)
- 한국 정책금리 0.75 유지
- 중국, 인도 석탄 부족 사태(석탄 가격 급등): 산업생산 위축. 산업금속(구리) 수요 감소. 중국 수출가격 상승. 물가 상승 압력
-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채무 불이행 확산
- JOLT 채용 공고 건수 감소세. 기대치 이하
- 10년물 국채 옥션 금리 하락으로 시중금리 다소 진정
-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주식시장 약세

Wednesday, Oct. 13

  • The Russian Energy Week conference begins
  • President Biden could decide on renominating Fed Chair Powell

Economic Data/Events

  • US FOMC minutes, CPI
  • JP Morgan reports third quarter earnings
  • China trade, medium-term lending facilities
  • Japan machinery orders, M2 money stock
  • Eurozone industrial production
  • Germany CPI
  • UK industrial, manufacturing production, trade
[예상 시나리오]
- 중국 수출 증가? 주식(China50) 상승. 원자재 상승
- OPEC+ 회의 증산 발표? 오일 가격 하락. 스태그 우려 해소. 주식 호재. 
- 미국 CPI 상승? 테이퍼링 기대. 시중금리 상승(채권매도). 달러상승. 주식 하락. 금 하락

[결과]
- 미국 CPI 상승. 시중금리/달러 상승. 주식/금/오일 하락 후 상승 안정.

스태그플레이션 기정 사실화(고용 부진, 경기 성장 둔화,인플레이션). 연준의 완화적 기조를 기대하는 형국. 
- 금 급등
- 원자재 상승
- 금리/달러 하락
- 나스닥 상승, 다우 하락

Thursday, Oct. 14

Economic Data/Events

[예상 시나리오]
a. 중국 PPI 기대치 이상?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증가 
- 금 상승, 금리/달러 하락, 원자재 상승
b. 중국 PPI 기대치 이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해소 
- 금 보합(하락), 원자재 보합(하락), 금리/달러 보합(상승)

c. 중국 PPI 상승. US PPI 기대치 상회로 예상(Stagflation)
- 금/원자재/나스닥 상승. 금리/달러/다우 하락 
d. US PPI 기대 하회? 위와 반대 

e. 실업수당 청구 기대치 이하(Good)? 테이퍼링
- 금/원자재/나스닥 하락, 금리/달러/다우 상승
f. 실업수당 청구 기대치 이상(Bad)? 스태그플레이션
- 금/원자재/나스닥 상승. 금리/달러/다우 하락

[결과] a, d, e
- 달러/금리 하락. 주가/원자재 상승. 금 보합.
- 은행들 어닝 발표 호재로 작용
- 악재 없음. 불확성 해소(테이퍼링). 물가상승과 고용시장 개선(과도한 물가 상승이나 경기 지속 개선)


Friday, Oct. 15

Economic Data/Events

[예상 시나리오]
a. 3분기 이익 발표: 낙관적
b1. Import Price Index: 상승 b2 하락
c1. Retail Sales: 하락 c2 상승

a 주가 상승
b1 금 상승, b2 금 하락
c1 금 상승, 주가 하락 c2 금 하락, 주가 상승

a+b2+c1 = 주가 보합(상), 금 하락, 금리(RRP증가) 상승, 달러 약보합, 원자재 강세

[결과]
a+b2+c2 = 가치주 상승/성장주 보합(하락), 금 하락, 금리(RRP증가) 상승, 달러 약보합, 원자재 강세

 


40주차 시장 주도 벤트(지난 주)

39주차부터 이어온 에너지(천연가스, 오일) 가격 급등, 미 정부 부채한도 리스크가 수요일에 해소되며 글로벌 시장이 반등하여 목요일까지 이어오다 금요일 발표된 고용지수가 기대 이하 수준으로, 연준의 완화적 스탠스를 기대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혼조를 이룸. 고용지수 발표 직후 달러/10년물 금리 하락, 금/나스닥 상승은 연준의 테이퍼링 계획이 연기될 가능성을 나타낸 반응이고 이후 점차 시장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방향으로 흐름이 바뀜. 

  • 월. Bearish. 나스닥 2% 이상 하락. 인플레이션 우려. Oil prices hit a seven-year high as OPEC and its allies stick with a modest increase.  중국 부동산(GDP 15%차지) 개발 회사(Fantasia, Sinic) 연이어 신용등급 강등
  • 화. Bearish. 에너지 가격 급등 지속(천연가스, 오일). 인플레이션 우려. RRP 지속 증가(금리 상승 요인, 금하락, 성장주 약세, 원달러환율 상승)
  • 수. Rebound. 에너지 가격 하락. 중국 호주 석탄 하역. 미국 공화당 부채한도 협의 12월로 연기. 푸틴 천연가스 증산 언급. 
  • 목.  Bullish. 가시권 악재와 리스크 소멸. 
  • 금. Steady(disoriented). Nonfarm payroll 예상치 훨씬 하회. 전월대비 증가율 하락. 연준의 완화적 스탠스 지속 기대 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시장 혼조세

40주차 경제 상황 요약

  • BEI 급등(2.3 -> 2.5). 10년물 급등(1.612), TIPS 소폭 하락(-0.9)
    - 기대 인플레이션 급상승
    - 테이퍼링 계획 국채 매도 유도. 임금 상승이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 BDI 지속 상승. 물류/운송 지연 지속.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 원자재 지수 CRB 에너지 가격으로 상승. LME 박스권(글로벌 생산 성장 둔화)
  • 시중은행 국채 매입 증가. 일반투자자 매도세. 역레포 지속 증가. 사실상 시장 유동성 축소
  • 국가 금융 컨디션: 리스크 감소, 신용 감소, 레버리지 증가
  • 회사채(BBB) 금리 스프레드. 역대 최저. 최근 회사채 금리 상승(3.03%에서 3.19% 로 상승)
  • 회사채(IG) 금리 스프레드. 역대 최저. 안정화(1.11% 유지)
  • GDP 잠재 성장률 하락(1.3%). 수출 감소
  • 채용 공고 감소세. 레저 및 서비스 부문 급감. 제조업 부문 감소세
  • 무역/도소매 재고 증가(8월). 무역수지 적자폭 확대 지속. 소매품 수입 감소세
  • 소비자 신뢰지수 CEO 경기 전망 지수 S&P500- EPS 전망 모두 성장 모멘텀 약화. 기대 하락


거시 경제 분석은 중기(최소 2개월 이상)의 시장에 적용할 수 있고, 그 이하 기간에는 무용지물에 가깝다. 
초단기 overnight 투자는 대체적으로 악재/호재/정책리스크/뉴스를 기반으로 움직이고 경제지표 예측과 대응이다.

나의 실수는 하락 또는 상승 저지선에 터치했을 때 그 방향성에만 집중하여 베팅하는 것이다. 
반전이 발생하는 확률이 더 높고, 충분한 SL 마진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손실이 발생한다. 
진입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은, 
1. 특별한 호재나 뉴스가 없을 때, 패턴이 깨졌을 때 진입하지 않는다. (확률이 낮은 경우)
2.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전에 분석을 마치고 미리 베팅 방향을 설정한다. (확률을 높이는 방법)
3. 분석 없이 내일의 막연한 모멘텀을 기대하고 방치 하지 않는다. 이익에서도 모르면 청산한다. 

728x90

'벌 궁리 > 주간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45주차 주간 종합  (0) 2021.11.12
2021년 44주차 주간 종합  (0) 2021.11.06
2021년 43주차 주간 종합  (0) 2021.10.29
2021년 42주차 주간 종합  (0) 2021.10.22
포트폴리오 관리  (0) 2021.09.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