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벌 궁리/주간경제지표

2021년 44주차 주간 종합

by 궁리중 2021. 11. 6.
728x90

이슈

44주차 주요 이벤트 및 전망
- Fed 테이퍼링 계획 발표 예정
- 각국의 정책금리 발표 예정
- 주요 경기 지표(산업생산, PMI, Payroll 등) 발표 예정
----------------------------------------------------------------------------
- 상당히 과열되어 있는 주식 시장 -> 연준 테이퍼링 발표 이후 하락 조정 가능성
- 건설투자 둔화, 내구재 소비 감소세 -> 산업금속(구리 등) 약세 지속 예상
- 수출, 산업생산, PMI 등 정체 또는 소폭 하락 예상 -> 경제 성장 지속. 모멘텀 약화
- Payroll 상승 -> 임금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 경기 하락 우려, 인플레이션. 각국 통화정책 향방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 확대. 관망
- 변동성지수:
- 금리:
- 달러:
- 주가지수:
- 구리:
- 오일:
- 금:
주요 경기 지표
Monday, Nov. 1
Economic Data/Events
- Korea Exports, Imports
- Japan vehicle sales, PMI
- China Caixin manufacturing PMI
- Australia manufacturing PMI, CoreLogic house prices, inflation gauge, home loans value
- Euro Manufacturing PMIs
- US Oct ISM Manufacturing: 60.3e v 61.1 prior, construction spending
---------------------------------------------
[예상 시나리오]

[결과]
ISM 제조업 PMI 기대치 상회로 주가 상승 -> 소형주(내수) 강세, 금리 하락 및 금 강보합(스태그 우려 지속)
주요 국가 정책 금리 동결로 자산 시장 안정

[특이사항 & 뉴스]
주요 국가(미국 외) 정책 금리 동결로 인플레이션 제어보다 경기 부양 지속.
Tuesday, Nov. 2
Economic Data/Events
- Australia consumer confidence
- Japan monetary base
- German Manufacturing PMI
- US light vehicle sales
---------------------------------------------
[예상 시나리오]
[결과]
[특이사항 & 뉴스]
- 중국 정부 가정에 겨울 대비 생활필품 준비하라 강조(홍수, 코로나, 석탄 이슈 때문에)
- 한국 CPI 2012년 이후 최고치. 석유 27.3% 급등
- API Weekly Crude Oil Stock. Crude 오일 재고 10월 이후 지속 기대치 상회. 오일 남아 돈다
Wednesday, Nov. 3
- FOMC Rate Decision: expected to announce it will begin tapering its asset purchases
Economic Data/Events
- China Caixin composite and services PMI
- Japan composite and services PMI
- Australia building approvals, Markit PMI services and composite, private sector houses
- Eurozone Markit services PMI, unemployment
- UK Nationwide house prices
- US factory orders, US durable goods, ADP Nonfarm Employment, ISM Non-Manufacturing PMI
- EIA Crude Oil Inventory Report
---------------------------------------------
[예상 시나리오]

[결과]
- 고용(ADP) payroll 기대치 상회 -> 경기 성장. 금 하락. 소형주 강세
- 미국 서비스 PMI 기대치 상회. 전월대비 상승 -> 경기 성장. 소형주 강세. 금리 상승
- Crude 오일 재고 예상치 상회 -> 오일 하락
- Fed 테이퍼링 시작 발표 -> 불확실성 해소. 시장 안정. 금리/주가지수 강세. 금/원자재 약세

[특이사항 & 뉴스]
- 중국 사교육 업체, 초강력 규제에 40% 폐업
- 중국내 미국 기업인들 이탈 가속화
- Fed 테이퍼링 시작 발표
- OPEC+ 미팅을 앞두고 급락. 증산 발표 예상해서?
 
Thursday, Nov. 4
- BoE Interest Rate Decision
Economic Data/Events
- New Zealand ANZ commodity prices
- Australia trade
- Eurozone PPI, 서비스 PMI
- Germany factory orders
- US trade, initial jobless claims
- OPEC+ meeting on output
---------------------------------------------
[예상 시나리오]
- 코스피 3015. 하락 시 한국장은 완연한 하락세로 간주
- 유로국가 서비스 PMI 기대치 상회 예상 -> 유로 강세. 달러 약보합. [유로 롱]
- 독일 공장 주문 하락 예상
- 영국 기준 금리 인상? -> 금 하락
- 미국 신규실업수당 청구 감소? -> 금 하락. 금리 상승. 소형주 강보합. 성장주 약보합. [금 숏, TMF 숏]
- OPEC+ 현 생산량 유지? -> 오일 강세

[결과]
- 코스피 2983. 장초 3011 이후 지속 하락
- 유로 서비스 PMI 기대치 소폭 하회 -> 유로 약세. 달러 강세
- 영국 기준 금리 동결 -> 금 강세
- 미국 신규실업수당 청구 건수 감소 -> 성장보다 인플레이션 우려 지배적. 10년물 하락. 성장주 상승. 가치주 하락
- OPEC+ 생산량 유지 -> 오일 약세

[특이사항 & 뉴스]
- 중국 식품 물가 가파른 상승. 부동산 가격 하락. 스태크플레이션 우려 증가
- 영국 기준 금리 0.1% 유지. 완화적 기조 지속. 
- OPEC+ 현 생산량 유지 발표
- VIX 상승. 모순된 장세. 양호한 성장 기조이면서도 스테그플레이션 우려가 지배적 정서. 10년물 하락, 가치주 하락, 달러 상승, 금 상승, 원자재 하락 등
Friday, Nov. 5
Economic Data/Events
Japan household spending
Australia RBA statement on monetary policy, foreign reserves
Spain industrial production
Germany Industrial production
Eurozone retail sales
US October Change in nonfarm payrolls: 400Ke v 194K prior; Unemployment Rate: 4.7%e v 4.8% prior
---------------------------------------------
[예상 시나리오]
- 코스피 하락
비농업 고용 증가 && 실업률 하락 -> 경제성장, 물가 상승 압력 증가 -> 테이퍼링 가속 -> 금리 상승, 금 하락

[결과]
- 코스피 하락. 2969
- 비농업 고용 증가 && 실업률 하락 -> 실화냐? 미친 거 같다. 경기 회복/성장 기대로 주식 강세, 원자재도 상승. 역설적이게도 안전자산군에 속하는 금과 채권까지 급상승. 10년물, 2년물 금리 모두 경기 하락 전망하는 움직임 등 최근 모순적 상황 자주 발생.....


[특이사항 & 뉴스]
- 미 은행권은 최근 지속적으로 국채를 매입. 미 재무부는 부채한도 재협상이 있음에도 $480B 까지 계좌잔고를 늘릴 계획.
10월 조정보다 큰 조정이 있을 것인가? 그렇다고 생각한다. 자산시장 버블 꺼져야 노동시장이 산다. 현금 보관의 최선은 국채다.
 

43주차 경제 동향

  • 미 재무부 계좌 잔고 $213T 로 증가 -> 현금 흡수
  • 상업/산업 대출 플러스 전환. 부동산대출 감소. 경기 하강 국면 신호
  • 현금성 자산 감소 -> 대신 채권 매입 증가. 국채금리 하락 요인. 경기 하강 국면 신호
  • BDI 지수 10월 7일 고점으로 지속 하락. 원자재 지수 상승 지속. 산업금속은 하락세
  • 미국 3분기 민간 비주거 고정 투자 하락 전환. 경기 하강 국면 신호
  • 비즈니스 세일즈 증가 둔화(Peaking) -> 전체 감소. 생산자 감소, 도매 감소, 소매 증가
  • 생산자 내구재 민간 신규 주문 급감
  • 물가는 지속 상승. 소비지출 감소(대출 감소, 저축 감소 등)
  • 바이든 인프라/사회복지, 증세 모두 축소
  • 테이퍼링보다 경기 침체 우려가 지배적 심리
  • 실업률 하락 속도, 물가 상승 속도 모두 가파름. 전년동월 대비로도 향후 2~3개월은 높은 물가지수 예상
  • 유럽중앙은행 현 완화기조 유지. 정책금리 유지

 


상당히 과열된 주식 시장

출처. https://www.naaim.org/programs/naaim-exposure-index/
출처. https://money.cnn.com/data/fear-and-greed/


https://www.cmegroup.com/trading/interest-rates/countdown-to-fomc.html

  1. 시장의 모멘텀(개인투자자의 정기투자)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지속적 상승)
  2. 모를 때는 진입하지 않는다. (확률이 낮은 경우)
  3.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전에 분석을 마치고 미리 베팅 방향을 설정한다. (확률을 높이는 방법)
  4. 분석 없이 내일의 막연한 모멘텀을 기대하고 방치 하지 않는다. 이익에서도 모르면 청산한다
  5. 단기 매매는 아주 멍청한 짓이고, 잃을 확률이 95%이다
  6. 거시 경제, 경제 지표, 그에 따른 시장 심리, 국가/산업 별 경기 동향 파악 공부가 목적임을 항시 상기한다
  7. 하락 시 인버스 투자보다 저가 매수가 이익률이 높다

내려올까...올라갈까

728x90

'벌 궁리 > 주간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46주차 주간 종합  (0) 2021.11.19
2021년 45주차 주간 종합  (0) 2021.11.12
2021년 43주차 주간 종합  (0) 2021.10.29
2021년 42주차 주간 종합  (0) 2021.10.22
2021년 41주차 주간 종합  (0) 2021.10.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