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42주차 주요 이벤트(이번 주)
- 영국 및 유럽, 독일에서 최근 Covid 확진자 증가 추세 - 어닝 시즌. 델타변이로 3Q 경기 위축 실적 저조 예상이나 금융주 예상치 상회, 기대감 상승. 빅테크 발표(수) - 중국PPI 상승, 미국 공급대란: 물가 상승 압력(물류/운송) 지속. ->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 압력. 중소형 업체 이익 감소. 소비심리 위축 - 중국, 미국 GDP 성장률 및 산업생산 하락세 -> 경기 둔화 - 미 재무부 임시 예산안(12/03) 추가 국채(단기채) 발행 계획. $480B 까지 TGA 증가 -> 시중 현금 흡수. 금리 상승 효과(역레포 여유 현금으로 보충 가능하여 충격은 미비할 것) - 중국 부동산 개발 이자 상환 불이행으로 업체 연쇄 부도 가능성 -> 건설 경기 부진, 원자재 하락, 부동산 가격 하력, 실업률 증가, 민간 소비 위축 등 악재로 작용 -> 에버그랑데 채권 이자 지급: 부도 가능성 불식 |
|
Monday, Oct. 18 Economic Data/Events - China Q3 GDP, Retail sales, Industrial production - US industrial production |
중국 GDP 성장률, 산업생산 등 주요 경제지표 하락. China50 하락 미국 설비가동률, 산업생산 하락으로 -> 오일 및 원자재 하락, 달러 약세, 기술주 상승(타 지수 보합) |
Tuesday, Oct. 19 Fed 연준 위원 스피치 Economic Data/Events - US Building Permits (MoM) (Sep) - US housing starts |
[예상 시나리오] 건축허가 및 주택시공 기대 이하? 경기 성장 둔화 -> 구리 하락, US2000 하락, 홈빌더(DHI) 하락, 달러/금리 하락 [결과] 구리 하락, US2000 하락후 반등, DHI 하락, 달러 하락, 금리 상승 |
Wednesday, Oct. 20 - Beige Book Economic Data/Events - Korea PPI - Japan trade - China property prices, loan prime rates - Eurozone CPI - EIA Crude Oil Inventory Report |
[예상 시나리오] 중국 부동산 하락? 경기 부진 유로지역 CPI/PPI 기대치 상회 & 지속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 오일 재고 연속 증가 |
Thursday, Oct. 21 Economic Data/Events - Eurozone consumer confidence - US Conf. Board leading index, U.S. existing home sales, initial jobless claims |
|
Friday, Oct. 22 Economic Data/Events - Japan CPI. PMIs - ECB Survey of Professional Economic Forecasters - Euro Markit services PMI, Markit manufacturing PMI - UK Manufacturing/Service PMIs, Retail Sales - Germany Manufacturing/Service PMIs |
[예상 시나리오] 일본 CPI 및 PMI 상승? 경기 낙관 유럽 & 독일 PMI 상승? 경기 낙관 미국 PMI 상승? 경기 낙관 지속 성장 기대(PMI) 하락 예상 파월 스피치: 인플레이션과 테이퍼링 언급에 주목. 일정대로 할 것으로 예상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유럽 Covid 확진자 증가 추세, 역레포 지속 증가, 주식 과매수, 원자재 급등, 중국 부동산 리스크 해소, 지속 성장 기대(PMI) 하락 - 주가지수. 약보합 - 금(1790 저항선). PMI 하락? 강보합, 상승 시? 하락 - 달러 약보합, 금리 강보합 - 원자재 약보합 |
※ [10/22]
VX | 20.10 | 하락. 가시적 악재 / 리스크 없음 |
U.S 10Y | 1.574 | 상승. 국채 발행(시장 현금 흡수). 역레포 증가 |
TIPS | -0.99 | 상승. 수입물가 하락(인플레이션 우려 다소 해소) |
Credit(HY) Spread | 3.18 | 보합(상승). 유동성 감소. 대출심사 강화 |
DXY | 93.96 | 상승. 시장 유동성 감소(국채발행, 역레포 증가) |
US30 | 35310 | 상승? 상단 채널선(35300) 도달. Breakout? |
US500 | 4473.2 | 상승? 상단 채널선(4480) 도달. |
USTECH | 15155.5 | 보합(?). 시장금리 상승. 빅테크 어닝 발표 긍정적 |
US2000 | 2270.2 | 하락. 3분기 소형주 어닝 하락 예상 |
China50 | 15972.5 | 하락. 부동산 개발회사 채무 불이행. 경제지표 기대치 하회 예상 |
JP225 | 29180 | 상승? |
Crude Oil | 81.73 | ? |
Copper | 4.72 | ? |
Gold | 1768.2 | 하락(보합). 유동성 감소(국채발행, 역레포 증가) |
41주차 주요 이벤트(지난 주)
한국 정책금리 0.75 유지 중국, 인도 석탄 부족 사태(석탄 가격 급등): 산업생산 위축. 산업금속(구리) 수요 감소. 중국 수출가격 상승. 물가 상승 압력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채무 불이행 확산 JOLT 채용 공고 건수 감소세. 기대치 이하 10년물 국채 옥션 금리 하락으로 시중금리 다소 진정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주식시장 약세 |
|
미국 CPI 상승. 시중금리/달러 상승. 주식/금/오일 하락 후 상승 안정. 스태그플레이션 기정 사실화(고용 부진, 경기 성장 둔화,인플레이션). 연준의 완화적 기조를 기대하는 형국 - 금 급등 - 원자재 상승 - 금리/달러 하락 - 나스닥 상승, 다우 하락 |
|
중국 PPI 기대치 상회 US PPI 기대 하회 실업수당 청구 기대치 이하 - 달러/금리 하락. 주가/원자재 상승. 금 보합. - 은행들 어닝 발표 호재로 작용 - 악재 없음. 불확성 해소(테이퍼링). 물가상승과 고용시장 개선(과도한 물가 상승이나 경기 지속 개선) |
|
3분기 이익 발표: 낙관적 Import Price Index 하락 Retail Sales 상승 FOMC 회의록 공개(10/14). 자산매입 축소는 11월부터 시작. 매월 채권 $10 billion, MBS $5 billion 씩 매입 축소 |
41주차 경제 동향
- 미 재무부 채권 추가 발행 계획. 약 $400B
- IMF 세계 경제 전망: 글로벌 지속 성장. 모멘텀 약화. 불확실성 증가.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 기대인플레이션(BEI) 2.56. 10년물 하락 1.57. TIPS 소폭 하락(-0.99)
-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유가 및 원자재 급등. 중국 PPI 상승 ->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 BDI 10/07 이후 하락세. 물류/운송 차질 완화?
- 원자재 지수 CRB 에너지 가격으로 상승. LME 급등.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동반 상승
- 시중은행 국채 매입 증가세. 역레포 지속 증가. 시장 유동성 축소 효과
- 미국 GDP 잠재 성장률 하락(1.2%). 수출 감소
- 채용 공고 감소세. 레저 및 서비스 부문 급감. 제조업 부문 감소세
- 무역/도소매 재고 증가(8월). 무역수지 적자폭 확대 지속. 소매품 수입 감소세
- 소비자 신뢰지수 CEO 경기 전망 지수 S&P500- EPS 전망 모두 성장 모멘텀 약화. 기대 하락
거시 경제 분석은 중기(최소 2개월 이상)의 시장에 적용할 수 있고, 그 이하 기간에는 무용지물에 가깝다.
초단기 overnight 투자는 대체적으로 악재/호재/정책리스크/뉴스를 기반으로 움직이고 경제지표 예측과 대응이다.
나의 실수는 하락 또는 상승 저지선에 터치했을 때 그 방향성에만 집중하여 베팅하는 것이다.
반전이 발생하는 확률이 더 높고, 충분한 SL 마진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손실이 발생한다.
진입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은,
1. 시장의 모멘텀(개인투자자의 정기투자)을 무시해서는 안된다. (지속적 상승)
2. 모를 때는 진입하지 않는다. (확률이 낮은 경우)
3. 주요 경제 지표 발표 전에 분석을 마치고 미리 베팅 방향을 설정한다. (확률을 높이는 방법)
4. 분석 없이 내일의 막연한 모멘텀을 기대하고 방치 하지 않는다. 이익에서도 모르면 청산한다.
5. 마지막으로 이런 단기 매매는 아주 멍청한 짓이고, 잃을 확률이 95%이다.
728x90
'벌 궁리 > 주간경제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45주차 주간 종합 (0) | 2021.11.12 |
---|---|
2021년 44주차 주간 종합 (0) | 2021.11.06 |
2021년 43주차 주간 종합 (0) | 2021.10.29 |
2021년 41주차 주간 종합 (0) | 2021.10.15 |
포트폴리오 관리 (0) | 2021.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