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시황13

24년 10월 2주차 시황. 리스크 소멸과 물가 하락 지속 지난 주 시황중동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유가 상승, 미국의 강력한 고용 시장, 파업 등의 물가 압력 증가.현재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Fed의 목표에 맞춰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제는 견고한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시장 참여자들은 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낮아짐. 따라서, 주 후반 시중 금리 상승과 증시에 호조(강보합)로 작용. 경기 사이클에 따른 섹터 별 성과 분석2024년 3분기. 확장이 장기화되는 글로벌 비즈니스 사이클(최종 업데이트 2024년 9월 29일)주요 경제권은 글로벌 금융 여건이 개선되고 제조업 활동이 견고해지면서도 지속적인 확장을 보였으며,afakelife.tistory.com이번 주 증시 예상  24년 10월 2주차. CPI와 실적시즌 시작FOMC 회의록, 9월 인플레이션 데이터(목요.. 2024. 10. 6.
28주차...수상한 상승 움직임 28주차...CPI와 2분기 실적 발표 시즌 시작미국 6월 CPI와 PPI 데이터 발표에 이어 파월 연준 의장의 상원 은행위원회 통화정책  증언 예정.한국 금리 결정이 발표와 이머징 국가의 인플레이션 데이터가 발표. 중국의 CPI, PPI, 신규 위안화afakelife.tistory.com 27주차. 고용 둔화로 인한 시중금리 하락과 신고가 갱신, 랠리의 연장주식 시장에 대한 낙관적 심리로 3주 연속 자금이 유입되는 등 상승 기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한편으로 신중한 심리 , 특히 기업 내부자의 매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기관의 현금 보유량이  최저(추가 매수 어려움)로 중기적으로 상승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현재 가시권 리스크가 없고 금융 여건도 위축 국면에서 소폭 완화로 변곡이 발생하여 강세 가 .. 2024. 7. 7.
26주차 증시...불안한 랠리 둔화된 PCE 로 연장될 수 있을까 S&P500 은 이번 주에도 주간 상승 마감, 올해 15% 상승. 금리(물가)와 AI 가 전체 시장을 주도하고 특히 시총 상위 종목만이 이끄는 불안정한 장세. [그래프1] 기업 내부자 거래 현황. 매도세가 강하며 현재 주가(SPY)와 다이버전스가 발생하여 하락 조정 가능성 대두. [그래프2] 시장은 연준 기준 금리가 올해 9월에 1회, 내년 1월에 1회 인하할 것으로 예상. [그래프3] 금융 여건이 위축되고 있어 주가 상승 제약 요인으로 작용. [그래프4] 지난 주 미국 주식형 펀드에 %18.73B 상당한 자금이 유입.[그래프5] 연이은 신고점 갱신에도 공포탐욕지수가 41로써 인 시장 정서는 공포에 기반한 환경을 반영, 잠재적 위험 선호도가 감소할 가능성 상승.[그래프6] 전미투자자협의 6/19일 설문조.. 2024. 6. 24.
25주차 증시...금요일은 네 마녀의 날...변동성 증가? 5월 MoM 헤드라인 CPI 가  제로. 심품 0.0%, 에너지 -0.1%, 근원 재화 -0.0%, 근원 서비스 0.1%, 전체 0.0%. 근원 서비스 물가는 상승했지만 에너지 가격 하락이 상쇄, 월간 긍원 CPI는 0.2%.FOMC, 인플레 둔화 확인했으나 승리 확신은 자제. 올해 금리 인하는 1회, 인플레 장기 지속 예상. 보수적이며 조심스러운  정책 기조 유지.5월 물가 상승 둔화로 시장은 반색했으나 FOMC에서의 다소 매파적이며 보수적인 금리 인하에 대한 기조 유지하면서 약보합으로 마무리. S&P500 기준 주간 1.58% 상승했으나 주식형 펀드에서는 $1.2B 달러가 순유출.연일 고점을 갱신하는 와중에도 기업 내부자들은 매도세가 강하며 이는 고점에서 나타내는 패턴.금융 여건이 위축되고 있어 조정.. 2024. 6. 15.
20주차 증시...FOMC, QRA 이후 금융 여건 완화와 반등 특별한 경제 지표 발표 없이 연준 인사들의 대체로 매파적인 발언에도 FOMC에서 QT 완화, 재무부 QRA 에서 채권 바이백 발표, 타이트한 고용 시장 완화되는 조짐으로 시장의 금융 여건이 완화세로 전환하며 주가 반등에 성공. 기준 금리는 고용 보고서 발표 후 9월과 12월에 25bp 씩 올해 두 차례 인하를 반영.장기 기대 인플레이션(5년, 10년) 하락세임에도 금 가격은 강세를 유지. 강세 심리 강화로 지난 주 미국 주식형 펀드에 $7.72B 유입. 대형 투자자 그룹(CTA, Asset Manager)에서 주가에 낙관적 심리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음.  경기 사이클에 따른 섹터 별 성과 분석※ SPRD 에서 발표한 자료 경기 사이클 이해를 통한 효율적인 자산 배분 및 투자 Since economic c.. 2024. 5. 12.
[시황분석] Y24.CW12.FOMC 눈치보기 [경제동향] Y24.CW12.주간 경제 지표 이번 주는 경제, 금리 전망(점도표) 를 발표하는 FOMC. 더불어 건축 허가, 주택 착공 및 기존 주택 판매 발표 예정. 국제적으로는 일본, 영국, 호주, 브라질, 터키, 스위스, 노르웨이의 금리 결정. 중 afakelife.tistory.com 금융 여건은 소폭 완화적으로 돌아섰고, 에너지 가격 상승(지정학적 이슈과 계절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자극 지속. 특히 농산품 가격과 운송비가 상승 중. 금리 인하 시기는 연준 인사들의 이구동성으로 하반기를 예상(시장은 현재 6월 ~ 7월). 주식 시장으로 자금이 지속 유입되고 투자자 설문 조사에서도 긍정적, 낙관적인 심리가 지배적이나 기관의 매수 포지션(선물)이 점차 감소하고 있음. 상승을 위한 호재가 없는 상태로.. 2024. 3. 18.
[시황분석] Y24.CW11.추가 상승 압박 [경제동향] Y24.CW11.주간 경제 지표 미국 금융시장은 소비자물가, 소매판매, 생산자물가, 미시간 소비자심리지수에 주목. 미국 헤드라인 CPI는 2월과 동일하게 3.1%로 변함없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 근원 CPI 2021년 4월 이후 최저 수준 afakelife.tistory.com 경기와 금융 여건은 2월부터 현재까지 소폭 위축 상태이며, 최근 금융 시장의 리스크도 상승. 에너지 가격 상승(지정학적 이슈과 계절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자극 지속. 특히 농산품 가격과 운송비가 상승 중. AI 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수 대형 기술주 집중도가 심화되고 있으며, 금리 인하 시기는 연준 인사들의 이구동성으로 하반기를 예상(시장은 현재 6월). 주식 시장으로 자금이 지속 유입되고 투자자 설문 조사에서도 긍정.. 2024. 3. 10.
[시황분석] Y24.CW05.쏠림 리스크가 무시되는 버블 국면 거대 무역회사 Trafigura Group이 운영하는 유조선이 홍해를 통과 중 미사일 피격 후 유가가 두 달 만에 최고치 상승, 원유 공급에 대한 지정학적 위험 부각. 유럽중앙은행(ECB)이 2024년 중반부터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는 크리스틴 라가르드 발언. 미국 증시에서 Magnificent 7의 집중도 우려 수준.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Russel2000 대비 1:1 이었던 비중이 4:1로 격차 발생. 미국 오피스 빌딩 소유주 채무 부담 위험 수준. 2024년 만기가 다 돼서 새로 조달해야하는 채무 규모가 1170억달러라는 보도. 내년 2025년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미국의 전체 상업용 부동산 부채는 1조 5천억달러, 2천조원 가량. - 파이낸셜타임스 태양광 .. 2024. 1. 28.
[시황분석] Y23.CW27.포지션 변경 경기 사이클(위축→반등) : 통화 정책(긴축 완화). 경기(성장↘→, 물가↘→). 전망(↘↗) 경기 사이클은 Early recession → Full recession. 완전한 침체 또는 불황 전 국면으로 기술, 통신, 임의 소비재 섹터가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으나 최근 소강 상태. 점차 산업과 재료 섹터의 성과가 개선되고 있음. [경제동향] Y23.CW27.미리 보기 [07/03~07] 급여(Payroll) 보고서, 실업률과 FOMC 회의록이 주요 이벤트. 이어서 ISM 제조 및 서비스 PMI, 공장 주문 및 대외 무역 데이터. 각국 PMI와 중국 Caixin 서비스 및 제조업 PMI 발표. 호주 금리 결정 afakelife.tistory.com [이번 주 시황 예상] 단기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P.. 2023. 7. 2.
[시황분석] Y23.CW21.셀인메이는 오지 않는가 경기 사이클(수축 → 침체) : 통화 정책(긴축). 경기(성장↘↗, 물가↘↗). 전망(↘) 시장 네러티브 긍정/낙관적 ◈ 하반기 Fed 정책 기조 선회(pivot) 기대 ◈예상을 상회하는 기업 실적 ◈견조한 노동시장에 기반한 연착륙 시나리오 ◈AI 주도 생산성 향상 ◈냉각되는 인플레이션 부정/비관적 ◈Fed의 긴축 장기화 ◈긴축의 지연된 효과 발현 ◈은행권 불안에 인한 대출 기준 강화 ◈부채한도 교착 상태 ◈ 높은 주식 밸류에이션 ▲CDS 역사적 고점(국가 신용 리스크) [경제동향] Y23.CW21.미리 보기 05/22~26. 주요 이벤트 - 부채 한도 협상. X-date 전 극적 타결 기대. - 금요일 PCE 발표. 근원 수치가 전월과 비슷한 수준 또는 소폭 상승 예상. [05/21(월)] - 중국 인.. 2023. 5. 21.
[경제동향] Y23.CW19.주간 요약 (5월 8일 ~ 12일) 부채한도 관련 불안감도 시장에 계속 악영향, 지역 은행 불안 지속과 경직된 CPI 하락 속도와 재 상승한 수입 물가 등으로 시중 금리와 회사채 스프레드 상승, CDS 도 사상 고점을 갱신함. 불안한 시장의 심리와 달리 변동성은 감소했으며 나스닥은 강보합 , 그외 지수는 하락으로 한주를 마감. 금은 달러의 강세의 영향으로 약보합, 비트코인은 금리가 상승하고 시중 유동성이 위축되며 급락함. 약한 중국 경제 지표가 순환 및 원자재 가격을 약화. 한 주간 소식 버크셔 헤서웨이 주주총회에서 워런 버핏은 버크셔의 1분기 영업이익이 13% 증가했지만 "미국 경제의 믿을 수 없는 기간, 좋은 시절이 곧 끝날 것"이라고 말하기도. 1차 부채한도 협상이 백악관에서 열렸지만, 합의 없이 종료. 예정.. 2023. 5. 13.
2022년 11월 1일 한국 수출입 및 시황 주식시장은 장초 저점에서 회복 후 견조한 미국 노동 시장 데이터(JOLTS 채용공고) 발표로 연준이 경기 침체의 위협에도 불구, 공격적 긴축 통화 정책 유지할 것으로 판단하여 하락으로 마감. 미국 10월 ISM 제조업 PMI 50.2(예상 50.0, 이전 50.9)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경기 수축 국면(50이하)에 접근 세계 경제에 필요한 칩, 디스플레이, 정제유 등 핵심 품목을 생산하는 한국의 무역 실적은 글로벌 탄광의 카나리아 역할을 하는데, 한국의 가장 큰 수입원인 반도체 수출은 2019년 이후 가장 많이 감소하고, 10월 수출은 -5.7%(YoY) 하락. 무역수지는 67.0억달러 적자 2022년 9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은, 9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동월대비 9.9% 하락, 소득교역조건.. 2022. 11.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