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사이클(위축→반등) : 통화 정책(긴축 완화). 경기(성장↘→, 물가↘→). 전망(↘↗)
[경제동향] Y23.CW26.미리 보기
[06/26~30] 미국 개인 소득/지출, PCE 물가 지수를 포함한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에 주목. 또한 내구재 주문, GDP 성장률의 최종 수치, CB 소비자 신뢰지수 및 주택 시장 지표 발표. 파월 연준 의장
afakelife.tistory.com
오늘의 경기 사이클은 Early recession → Full recession. 완전한 침체 또는 불황 전 국면으로 기술, 통신, 임의 소비재 섹터가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으나 최근 소강 상태.
![]() |
![]() |
PerfCharts | Free Charts | StockCharts.com
PerfCharts allow you to dynamically compare the performance of up to ten different ticker symbols over a customizable period of time. Each line on a PerfChart shows the percent change for one securit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hart (its left edge). D
stockcharts.com
[이번 주 시황 예상] 주택 시장 반등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내구재 주문 하락 및 5월 PCE 물가 지수 또한 하락을 예상. 파월 의장의 수/목 이틀에 걸친 발언이 있으나 정책 노선에 대한 변화 언급은 안할 것이며 기존 뷰를 고수할 것. 현재 주가 상승에 대한 재료가 소진된 상태로, 좀더 확실한 물가 하락 신호로 인한 금리 정책 기조 전환에 기대가 상승하면서 시중 금리가 하락할 때 주가 반등이 있을 것으로 예상. 즉 PCE 발표까지 약보합 유지하다 금요일 향후 주가 흐름이 결정될 것으로 판단됨. |
||
시장 주도 주요 이벤트 | 예상 및 영향 | |
월 | ||
화 | 1) 미국 내구재 주문 (MoM) (May) -1.3% 1.1% 2) 미국 CB 소비자신뢰지수 (Jun) 104.0 102.3 |
1) 감소 예상. 경기 침체 우려 확대. 시중 금리 하락 2) 상승 예상. 주가 상승 |
수 | 3) 미국 Fed 의장 Powell 발언 4) 미국 Fed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
3) 기존 시각과 별 차이 없을 것. 영향 미흡 예상 4) 지역 중소 은행 건전성 파악. 부정적일 경우 주가 하락 |
목 | 5) 미국 Fed 의장 Powell 발언 | 5) 기존 시각과 별 차이 없을 것. 영향 미흡 예상 |
금 | 6) 미국 PCE 가격 지수 (MoM) (May) 0.4% | 6) 하락 예상. 시중 금리/달러 하락. 주가 상승. |
리스크 | ①러-우 전쟁 휴전 소식 가능성 ②미 금융 시스템 우려: 지역 은행 자산 중 상업 부동산 대출 과다, 미실현 손실 증가, 예금 인출 | |
↑(상승), ↓(하락), ↗(강보합), ↘(약보합), ↔(보합) |
①②③④ ⑤ ⑥ ⑦ ⑧ ⑨ ⑩ ⓐ ⓑ ⓒ ⓓ ⓔ ⓕ ⓖ ⓗ ⓘ ⓙ ↑↓↗↘↔▷◁→
공포 탐욕 지수. 탐욕 구간. 지난 주에 비해 하락 | 풋/콜 비율. 저점에서 반등 |
![]() |
![]() |
[지난 주 시황] |
|
Financial condition | |
COT(S&P500) | |
Momentum Index | |
SKEW Index | |
VIX spread | |
Fear&Greed | |
NAAIM | |
AAII | |
Margin Debt | |
Insider Trading | |
IPO | |
Fund Flow, R | |
Blogs |
[지난 주 예상]
시장 주도 경제 지표 발표는 없으나, 지난 주 FOMC 이후 파월 의장의 청문회 증언과 멤버들의 잇다른 연설로 시중 금리의 변동성이 확대가 예상되며 지난 주 금요일 선물/옵션 동시 만기에 20일 VIX 선물 만기일로 주식 시장의 최근 랠리에 제동(횡보)이 걸리거나 하락 조정 가능성이 있음.
지수가 가파르게 상승, 과매수 구간에 진입하여 추가 진입에 대한 심리적 압박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잠재적 리스크가 소멸된 상태로 경기 둔화 외에 시장에 충격을 가할 기제가 없음. 다만 Fed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질 경우 금리 상승과 주가 하락 조정에 기여하게 될 것.
[지난 주 결과]

'벌 궁리 > 주식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황분석] Y23.CW28.2분기 실적 발표 시즌 (0) | 2023.07.09 |
---|---|
[시황분석] Y23.CW27.포지션 변경 (0) | 2023.07.02 |
[시황분석] Y23.CW25.과매수 (0) | 2023.06.19 |
[시황분석] Y23.CW24.S&P500 Bull 마켓 진입 (0) | 2023.06.12 |
[시황분석] Y23.CW22.상방이 열렸다 (0) | 2023.05.29 |
댓글